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The following article on excerpts from the interview of the President of Kazakhstan, Kassym-Jomart Tokayev, with Egemen Qazaqstan newspaper, was contributed by the Embassy of Kazakhstan in Seoul to Diplomacy Journal. –Ed. “We will continue a constructive and balanced foreign policy, taking into account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country. In 2024, our country will host a number of representative summits and forums. Kazakhstan will chair several authoritativ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t once, including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the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
By Kayla Lee In 1978, at the age of 25, Arok Jung Gui-ja joined the Jeong Soo-hee's Folk Painting Institute, loc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lumni Hall building near Gwanghwamun, after watching a TV program about folk paintings. This choice led to her eventual ascension to the status of Seoul City'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lk Painting Artisan. It was a chance encounter with folk painting that turned out to be fateful. In 1980, she met Kim Man-hee, the first and only master folk painter of Korea and the Seoul City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8, as her second teacher and s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전통 채화칠기의 복원과 창작을 통한 연구 1000년의 혼을 담아내는 무형문화재 제1호 칠화장漆畵匠 보유자인 청목靑木 김환경金煥京 재단법인 청목문화재단 이사장은 평소 소탈한 모습을 하고 있는것이 매력으로 꼽힌다. 60년이 넘는 세월을 한결 같이 옻칠연구에만 몰두해 왔다. 그리하여 무형문화재 제1호 칠화장이란 타이틀을 보유한 우리나라 칠화장계 최고의 대가이다. 칠화란 옻칠로 그린 그림을 말한다. 즉, 옻나무에서 옻을 채취하여 정제한 후 천연연료를 옻칠과 배합하여 색칠을 만들고, 이 색칠을 기물에 칠하여 무늬를 시문하는 것을 말한다. 칠화의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을 채화칠기라 한다. 채화칠기의 특징은 옻칠과 안료의 배합으로 화사하면서도 은은하고 중후한 아름다움을 뽑내고 있다. 그러나 작업상 매우 까다롭고 색칠을 만드는 과정 또한 오랜 경험에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투철한 장인정신이 필요한 분야이다. 청목선생은 1975년부터 채화칠기를 시작했다. 70년대만 해도 나무에 옻칠을 하고 조개를 납작하게 갈아 십장생 등의 한국적 문양을 붙여 만들었던 가구나 주방용품의 제작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부기로 더 잘 알려진 부기 몰리(Boogie Moli)는 1995년 콩고 킨샤사(Kinshasa)에서 태어난 현대 거리 예술가이다. 두남재갤러리 (강남구 테혜란로4길 45 소재)에서 1월 5일부터 2월 18일까지 주최 오아시시아트 주관 ㈜서브라임 김호재대표, 꾸바아트썬터 차효준대표로 진행이 된다 부기와 그의 가족은 10살이었을 때 영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부기는 축구에 대한 열정으로 친구들과 거리에서 경기를 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재능은 곧 인정받아 2009년에는 리버풀 FC(Liverpool FC)에서 선수생활을 했으며, 이후 2012년 1월 울버햄튼 원더러스(Wolverhampton Wanderers)와 프로 계약을 맺고 활발한 활동을 하던 중 그는 부상으로 인해 그는 축구 경기장보다 옆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2018년 여름, 에스토니아에서 잠시 축구를 한 후 부기는 자신의 축구 경력을 끝내고 예술로 초점을 옮겨 본격적인 그림 작업을 하게 된다. 처음 그는 트레이너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캔버스로 작업이 진행 되었는데, 바스키아, 앤디 워홀, 레트나 및 조지 콘도와 같은 상징적인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정용근 전 충북경찰정장이 지난 12월 30일 서울 아트플라자에서 열린 2023“대한민국 위대한 한국인 100인 대상” 시상식에서 “민생치안 봉사 공로 대상”을 수상했다. 정용근 전 청장은 “뜻깊은 상을 받게 되어 기쁘지만 그만큼 책임감도 무겁다”라며, “앞으로 지역에서 더 열심히 발로 뛰며 주민들과 직접 소통하고 주민의 삶과 직결된 민생현안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정용근 전 청장은 충주시 용탄동 출생으로 목행초-충주중-충주고를 졸업했다. 경찰대 3기로 경찰에 입문, 37년간 음성경찰서장, 충북경찰청장, 경찰청 교통국장 등을 역임했다. 앞서 작년 12월 12일 예비후보로 등록하기도 했다. 한편, 2023 대한민국 위대한 한국인 100인 대상 시상식에서는 종교,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국방, 의학, 환경, 예술, 스포츠 분야와 봉사, 선행, 효행 등 일반 및 공직사회에서 타의 귀범이되는 분들을 찾아 그 공로를 치하하고 표창함으로써 국내 외에 대한민국의 이미지 홍보 및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지대한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각 분야에서 헌신ㆍ노력해 온 숨은 공로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천안시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과 ‘천안 한명회 묘역’이 충청남도 문화재로 지정됐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이날 문화재 소장자인 대한불교조계종 각원사와 청주한씨 충성공파에 문화재 지정서를 전달했다. 이로써 천안시의 도지정문화재는 29건으로 늘어났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묘법연화경은 목판본으로 1569년 판각의 간행 기록이 남아있으며, 전체 7권의 완전한 구성을 하고 있다. 세조, 예종 등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조 비인 정희왕후(貞熹王后)가 발원한 대자본(정희왕후본) 계열로 보존상태·희귀성 등 문화재 지정 가치가 높아 지정됐다. 천안 한명회 묘역은 조선 전기 정치가인 한명회와 부인 여흥민씨의 묘소로 전반적으로 양호한 보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석조물의 축조 방법과 조각 수법을 고려하면 15~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담장 형태로 묘역을 감싸 축조한 석축, 무인상을 2구씩 쌍으로 배치한 방식, 신도비의 우수한 조각 수법 등을 종합할 때 문화재 지정 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특히, 당초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던 ‘한명회 선생 신도비’는 해제되고, ‘천안 한명회 묘역’을 충청남도 기념물로 일괄 지정해 체계적으로 보호·관리하게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경상북도와 안동시은 안동시 소재 비지정 불교문화유산인 안동 선찰사 삼세불도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 이번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안동 선찰사 삼세불도'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과학 조사 지원과 더불어 수개월 동안 인문학적 조사 등을 추진한 결과이다. 또한 대한불교조계종 선찰사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하여 안동 선찰사 삼세불도의 독창적인 화면 구성, 일반적인 불화와 다른 표현기법 등에서 예술미가 돋보인다. 과거 조사된 기록을 통해 제작 시기와 더불어 당시 불화를 조성하던 화사 집단 활동 사항 연구에 사료적 가치를 확인했다. 안동 선찰사 삼세불도(安東 仙刹寺 三世佛圖)는 1823년 신겸이 증명을 맡고 학송당 선준이 양공이 되어 함께 제작했으며, 경북 대승사에서 형성됐던 사불산화파의 대표적 화승인 퇴운당 신겸 화풍의 영향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한 화면에 삼세불인 석가·약사·아미타불을 두고 지장보살이 조합된 새로운 도상을 갖춘 개성있는 불화로서 신겸의 특징인 파격적인 도상의 전용과 창출이 구현되어 있다. 현재 화기의 박락으로 육안상 판독이 어렵지만, 선행 자료와 경북 지역 불화를 통해 신겸과 선준, 수연의 작품과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전라남도는 불교조각과, 조선시대 비, 의병 유물, 고문서류 등 총 9건을 문화재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문화재 가운데 ‘장성 백양사 청류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장성 백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 ‘장성 기효간 종가 고문서’, ‘장흥 척사윤음비’, ‘영암 도갑사 청동문수동자상’, ‘구례 개성왕씨 소장 정유재란 관련 유물’, 6건은 전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또 ‘구례 개성왕씨 소장 정유재란 의병 현창 고문서’, ‘장흥 벽사역찰방 기념비군’, ‘장흥 도호부사 기념비군’, 3건은 전남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됐다. ‘장성 백양사 청류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688년 수화승(首畵僧) 자규를 비롯해 태순, 진찬 등이 참여해 조성한 불상이다. 조각기법이 우수하며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다. 수화승은 불화 제작에 참여한 화승 집단을 이끈 역량이 가장 뛰어난 화승이다. ‘장성 백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은 1653년 조성 연대가 확인되며 15인의 조각승이 참여했다.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조성 당시부터 현재까지 한 장소에 보관돼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장성 기효간 종가 고문서’는 장성 행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문화재청은 12월 28일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浦項 金光洞層 新生代 化石産地, Cenozoic fossil site of the Geumgwangdong Formation, Pohang)'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불교 문화유산과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는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섬진강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곡성 함허정 일원'을 국가지정유산 명승으로 지정했다.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는 메타세쿼이아, 너도밤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등과 각종 미기록 종을 포함해 식물화석이 60여 종이 넘게 나온 곳이고, 우리나라 내륙에서 발견되지 않는 식물화석도 발견된 바 있어 한반도 신생대 전기의 지형과 기후환경, 식생 변화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자료이다. 포항시 동해면 금광리 일원에 위치한 금광동층은 약 2천만 년 전, 동해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곳으로 다양한 종의 식물화석이 층층이 밀집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화산활동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시기에 다소 습윤한 기후조건에서 나뭇잎 등과 같은 부유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퇴적됐음을 알려주고 있다. 지정일인 28일에 맞춰 문화재청은 '포항 금광동층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경기 양주시는 지난 26일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회의실에서 ‘양주 회암사지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 선정을 위한 보존·관리 기초자료 DB구축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황은근 복지문화국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 자문위원, 용역사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양주 회암사지 보존·관리 연구용역의 성과 및 연구과제 결과 보고, 향후 과제에 대한 용역사의 최종보고와 질의응답, 의견수렴 순으로 진행됐다. 회암사지의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 선정을 위해 추진한 이번 연구용역은 4월 착수하여 회암사지 관련 보존·관리 자료를 연구 분석하고, 향후 양주 회암사지 보존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써 활용된다. 시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회암사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위한 로드맵을 구축하고, 향후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작성, 등재 추진 전략 수립 등에 반영할 예정이다. 황은근 복지문화국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회암사지를 보존‧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체계 및 로드맵을 수립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보존․관리, 홍보 및 주민 참여 활동 등을 통해 우리 시 대표 문화유산인 회암사지 세계유산 등재
유엔저널 이정 기자 | 경상남도는 문화재청에 신청한 보물 「밀양 영남루」와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이 각각 국보와 명승으로 28일 지정된다고 밝혔다. 도는 도내 소재 문화재의 역사성, 보편성, 지역성 등 다양한 특성을 파악해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될 수 있도록 문화재청, 시군 등 지속적으로 협력해왔으며, 그 결과 2023년 국가지정문화재가 9건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경과를 살펴보면, 지난 1월 제2로직봉-양산 위천 봉수 유적, 사적 지정을 시작으로 3월에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보물 지정, 11월 합천 해인사 홍하문, 함양 용추사 일주문, 하동 쌍계사 일주문, 총 3건 보물 지정, 12월 22일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12월 26일 복재선생집, 보물지정됐다. 올해 12월 28일 마지막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는 밀양 영남루는 문화재적 가치가 월등하여 국보로 승격되고,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은 명승으로 지정됐다. 밀양 영남루(국보) 국보로 지정된 밀양 영남루는 조선 후기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누각으로 건축형식과 구조, 공포, 조형, 단청, 조형미 등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중국이 처음으로 제작한 13만톤급 대형 크매직씨티 루즈선이 지난 28일 제주에 처음으로 기항했다. 이 크루즈선을 비롯해 내년 제주를 오가는 국제크루즈선 수가 올해 약 80회에 걸쳐 강정마을을 찾은 데 이어 앞으로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면서 관광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 30분쯤 서귀포시 강정동 제주민 군 복합형 관광미항은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해 일본 가고시마를 거쳐 제주에 온 '아도라 매직 시티(Adora Magic City)호' 승객 2600명으로 크게 북적였다. 곧바로 서귀포 유람선 선착장으로 이동한 승객들은 전통풍물패 공연과 제주 방문 기념 선물 증정식 등 입도 환영 분위기 속에 제주여행을 시작했다. 이들은 약 8시간 동안 제주에 머물며 외돌개와 성읍 민속촌, 제주신화월드, 서귀포 감귤박물관 등을 방문한 뒤 서귀포 매일 올레 시장 일대에서 쇼핑과 원도심 탐방을 즐긴 뒤 다시 중국 상하이로 돌아갔다. 올해 제작된 중국 첫 국산 대형 크루즈선인 아도라 매직 시티호는 길이 322.6m, 총 톤 수 13만5500t, 24층 건물에 맞먹는 높이를 자랑한다. 2000개가 넘는 객실에 승객 5246명을 포함해
유엔저널 이정하 기자 | 아시아 태평양 벨드주르 이승원 회장은 프랑스 럭셔리 명품 벨드주르의 중국 판매를 위한 라이센싱 계약을 29일자로 중국 벨드주르(百丽久日(北京)贸易有限公司), 유한회사와 체결했다. 본 계약에 따르면 중국 벨드주르 유한회사는 향후 5년간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는 벨드주르 제품의 20% 물량을 수입하여 판매 소진하며 중국에서 생산되는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계약된 50%의 라벨링 리테이너 피 방식 (Labeling retainer fee)을 통하여 매월 일정액을 청구·지불하는 것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싱가포르 벨드주르 라이센싱 계약도 올해 1월 중으로 성사될 예정이다. 싱가포르의 고급 사교계에서 성공적으로 명성을 쌓은 오션 우(Ocean Woo)와 의 만남에서 벨드주르 명품 사업에 대해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명품 이미지에 대해 확신에 찬 의사로 사업구상을 논했다고 전했다. '오션 우'는 전 세계 모든 명품 회사의 모델로 성공하였으며 예술가로도 창작 활동을 하는 유명 기업인이다. 빅토리아시크릿(Victoria's Secret) 싱가포르의 란제리 회사 창업자이기도한 '오션 우'와 이승원 회장은 싱가포르 벨드주르 법인 설립 및 공식 론칭 발
By Lee Kap-soo Singapore Tourism Board (STB) announced the appointment of Nicky Seet as the new head of its Korea office on Dec. 20. Nicky Seet will continue to lead strategic planning, market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to make Singapore an attractive destination for Koreans, in line with the launch of Singapore Tourism Board's new global campaign, 'Made in Singapore'. She joined Singapore Tourism Board in 2015 as Senior Manager, Lifestyle Area Development, where she spearheaded the regeneration of Singapore's Orchard Road and supported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Orchard Road has recentl
By Kayla Lee LG Chem has commenced the construction of a cathode plant in the U.S., intending to establish a production hub for the global battery material market. The facility, located in Montgomery County, Clarksville, Tennessee, will locally produce cathode materials optimized for North American electric vehicles (EVs) and collaborate with key partners from development to supply chain. On December 20, LG Chem held the groundbreaking ceremony for its cathode plant in Tennessee. The event was attended by guests including Tennessee Governor Bill Lee, Commissioner Stuart McWhorter, Senator Mars